갈조류

갈조류
Macrocystis pyrifera
Macrocystis pyrifera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계: 크로말베올라타계
문: 부등편모조문
강: 갈조강 (Phaeophyceae)
Kjellman, 1891[1]
  • 본문 참조

갈조류(褐藻類, Phaeophyceae 또는 brown algae)는 보통 해양성이고 다세포 조류에 속하는 원생생물의 한 군(群)을 말한다. 전 세계에 약 250속의 1,500종이 알려져 있는데 그 대부분이 바다에서 산다. 조류 중 가장 발달된 체제를 갖고 있으며, 단세포군체인 것은 거의 없고 대부분이 사상체 또는 막대기·나뭇가지 모양 등의 형태로 나뉜다. 작은 것은 육안으로 겨우 보이는 정도이지만, 큰 것은 10m 가까이나 되는 것도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세포 안에는 분화된 세포 기관이 있다.
  • 동화 색소로는 엽록소 a와 엽록소 c 외에 갈조소를 가진다.
  • 동화 저장 물질은 탄수화물의 일종인 만니톨·라미나린 등이다.
  • 유주 세포는 옆쪽에 길고 짧은 2개의 편모를 갖는다.
  • 긴 편모는 깃꼴 구조를 하고 앞쪽에 뻗어 있으며, 짧은 편모는 채찍꼴 구조로 뒤쪽으로 뻗어 있다.

하위 분류

[편집]

갈조강에 속하는 목록은 다음과 같다.[2]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대롱편모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3][4]

대롱편모조식물
카키스타류

볼리도조류

돌말류

파에이스타류
Hypogyrista

규질편모조류

펠라고조류

Chrysista
Eustigmista

핀귀오조류

진안점조류

Phagochrysia

피코파구스강

신크로마강

Leukarachnion

황조류

Xanthophytina

침편모조류

갈조류

크리소메리스강

파이오탐니오조류

황록조류

생활사

[편집]

갈조류의 생활사는 일반적으로 4가지 형이 알려져 있는데, 즉 넓패형·채찍말형·다시마형·뜸부기형이 그것이다.

넓패형

[편집]

우리가 보는 넓패는 암배우체 및 수배우체와 포자체의 3종류가 있는데, 그 생김새가 비슷하여 생식 기관이나 염색체를 조사해보지 않으면 구별할 수가 없다. 암배우체에는 생란기가 생기고, 수배우체에는 장정기가 생겨, 장정기로부터 헤엄쳐 나온 정자가 알에 이르면 수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정란은 바다 속을 떠다니다가 바위 등에 붙으면 발아하여 포자체가 된다. 한편, 복상인 포자체는 자라서 포자낭을 만드는데, 포자낭 속의 포자 모세포가 2회 분열한 결과 4개의 포자, 즉 사분 포자를 만든다. 사분 포자는 단상으로, 방출된 후 바위 등에 붙으면 발아하여 배우체가 된다. 이때 4개의 포자 가운데 2개는 암배우체가 되며, 다른 2개는 수배우체가 된다. 이와 같이 넓패는 단상인 배우체와 복상인 포자체의 세대 교번이 이루어진다.

채찍말형

[편집]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채찍말의 몸은 암배우체 또는 수배우체이며, 각각에서는 암·수의 배우자통이 만들어진다. 암배우자낭으로부터는 큰 암배우자가, 수배우자낭으로부터는 작은 수배우자가 헤엄쳐 나와 바다 속에서 서로 접합하게 된다. 접합자는 바위나 조개껍질에 붙으면 곧 발아하여 성장하는데, 이 때의 생김새는 달라붙은 납작한 모양으로 우리가 흔히 보는 채찍말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예전에는 이것을 '아글라오조니아'라고 하여 다른 조류로 다루기도 하였다. 유주자는 바로 이 아글라오조니아의 몸 표면에 생긴 유주자낭의 감수 분열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리하여, 헤엄쳐 나온 유주자가 발아하면 우리가 보는 채찍말의 몸체, 즉 배우체로 자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채찍말은 채찍처럼 길고 단상인 배우체와 아글라오조니아라고 부르는 납작한 복상의 포자체 사이에서 세대 교번이 이루어진다.

다시마형

[편집]

우리가 흔히 보는 다시마의 몸체는 포자체로서, 거기에 유주자낭이 생긴다. 유주자낭 안에는 32개나 64개의 유주자가 감수 분열을 통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만들어진 유주자는 단상이며,이것이 방출되어 발아한 결과 작은 암·수배우체를 만들게 된다. 배우체에서는 생란기와 장정기가 만들어지는데, 장정기로부터 정자가 헤엄쳐 나와서 생란기의 알에 도달함으로써 수정이 이루어진다. 수정란은 즉시 분열하여 헛뿌리를 내면서 바위 등에 붙어 성장하게 되며, 이것이 흔히 식용하는 다시마가 된다. 이와 같이 다시마에서는 큰 복상 포자체와 작은 단상 배우체 사이에서 세대 교번이 이루어진다.

뜸부기형

[편집]

우뭇가사리형 생활사라고도 하는데, 우리가 흔히 보는 뜸부기나 우뭇가사리의 몸체는 복상으로, 거기에 생란기나 장정기가 생긴다. 뜸부기에서는 가지 끝이 부풀어올라 그 속에 수많은 생란기와 장정기가 만들어지는 반면, 우뭇가사리는 몸체 끝에 특별한 모양의 작은 가지가 생겨 그 속에 생란기와 장정기가 뭉쳐서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유성 생식 기관이 집단적으로 만들어진 부분을 '생식기상' 또는 '생식기탁'이라고 한다. 알은 조수의 차가 가장 클 때쯤 방출되는데, 방출된 후에도 한천 모양의 점질물로 생식기상 주변에 붙어 있다가 정자가 헤엄쳐 오면 그 곳에서 수정이 이루어진다. 수정란은 즉시 분열하여 헛뿌리를 만들면서 다세포체가 되지만, 며칠 동안 자성 생식기상에 붙어 성장한 후에야 비로소 모체를 떠나 바다 속으로 떨어진다. 이것은 마치 어머니가 아기를 클 때까지 돌보는 것과도 같다. 한편, 바다 속에 떨어진 어린 몸체가 바위 등에 붙어 자라면 암배우체 및 수배우체가 된다. 우리가 흔히 보는 뜸부기는 배우체이다. 뜸부기형 생활사에서는 알이나 정자가 생길 때만 감수 분열이 일어나므로, 배우체만 존재할 뿐 포자체가 없다. 따라서 여기서는 세대 교번이 없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jellman, F.R. (1891). 〈Phaeophyceae (Fucoideae)〉. Engler, A. & Prantl, K. (eds.).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1 (2). Leipzig: Wilhelm Engelmann. 176-192쪽. 
  2. Guiry, M. D. & G. M. Guiry (2009).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3.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 
  4.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