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키드산
이름 | |
---|---|
IUPAC 이름 eicosanoic acid | |
별칭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7.302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1] | |
C20H40O2 | |
몰 질량 | 312.538 g·mol−1 |
겉보기 | White crystalline solid |
밀도 | 0.8240 g/cm3 |
녹는점 | 75.4 °C (167.7 °F; 348.5 K) |
끓는점 | 328 °C (622 °F; 601 K) |
Practically insoluble in water | |
위험 | |
인화점 | 110 °C (230 °F; 383 K)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아라키드산(영어: arachidic acid) 또는 에이코산산(영어: eicosanoic acid) 또는 이코산산(영어: icosanoic acid)은 20개의 탄소로 구성된 포화 지방산이다. 아라키드산은 쿠푸아수 버터(7%),[2] 들기름(0~1%),[3] 땅콩기름(1.1~1.7%),[4] 옥수수기름(3%),[5] 코코아 버터(1%).[6]의 미량 성분이다. 또한 두리안의 일종인 Durio graveolens의 열매 지방의 7.08%를 차지한다.[7]
아라키드산의 이름은 라틴어 "arachis"(땅콩을 의미함)에서 유래되었다. 아라키드산은 아라키돈산의 수소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라키드산이 환원되면 아라키딜 알코올을 생성한다.
아라키드산은 세제, 사진 재료 및 윤활제의 제조에 사용된다.
각주
[편집]- ↑ *Merck Index, 11th Edition, 791
- ↑ Cohen, K. de O. & Jackix, M. de N. H. (2009). “Características químicas e física da gordura de cupuaçu e da manteiga de cacau” (pdf). 《Document / Embrapa Cerrados》 (포르투갈어) (269): 1–22.
- ↑ Shin, Hyo-Sun (1997). 〈9. Lipid Composition and Nutritional and Physiological Roles of Perilla Seed and its Oil〉. Yu, He-Ci; Kosuna, Kenichi; Haga, Megumi. 《Perilla: The Genus Perilla》. London: CRC Press. 93쪽. doi:10.1201/9781439822715.ch9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17-11-30). ISBN 9789057021718 – CRCnetBASE 경유.
Perilla seed contains about 38-45% of lipid (Sonntag, 1979; Vaughan, 1970).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Beare-Rogers, J.; Dieffenbacher, A.; Holm, J.V. (2001). “Lexicon of lipid nutrition (IUPAC Technical Report)”. 《Pure and Applied Chemistry》 73 (4): 685–744. doi:10.1351/pac200173040685.
- ↑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07.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20. Nutrient Data Laboratory Home Page
- ↑ USDA nutrient database 보관됨 3월 3, 2015 - 웨이백 머신
- ↑ Nasaruddin, Mohd hanif; Noor, Noor Qhairul Izzreen Mohd; Mamat, Hasmadi (2013). “Komposisi Proksimat dan Komponen Asid Lemak Durian Kuning (Durio graveolens) Sabah”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abah Yellow Durian (Durio graveolens)] (PDF). 《Sains Malaysiana》 (말레이어) 42 (9): 1283–1288. ISSN 0126-6039. OCLC 857479186.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