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생태용량 초과의 날
지구 생태용량 초과의 날(Earth Overshoot Day)은 물, 공기, 토양 등 자원에 대한 인류의 수요가 지구의 생산 및 폐기물 흡수 능력을 초과하게 되는 시점을 일컫는 말로, 이날로 인류는 한 해에 주어진 생태 자원을 모두 소진하게 된다.[1] 따라서 생태용량 초과의 날을 맞이한 뒤에는 "바다와 숲이 흡수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탄소를 배출하고, 보다 많은 물고기를 잡게 되며, 보다 많은 나무를 자르고, 보다 많이 수확하며, 지구가 생산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물을 사용"하게 되며,[2] 이는 곧 미래 세대에게 생태적 빚을 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1960년대에는 지구가 복원할 수 있는 생태자원의 3/4밖에 사용하지 않았으나 1970년대 급속한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인류의 생태자원 소비는 자연의 재생 능력을 넘어섰고, 이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지구생태발자국네트워크(GFN)이 선포한 것이 생태용량 초과의 날이다. 생태자원의 소비가 가장 큰 나라는 오스트레일리아로 세계인이 오스트레일리아인처럼 생활한다면 이를 감당하기 위해 5.4개의 지구가 필요하다.[3] 한편, 국가 면적 대비 1인당 소비량이 가장 큰 곳은 대한민국으로 현재의 소비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8.4배의 땅을 추가로 필요로 한다. 다음에 이르는 나라는 7.0배의 땅을 필요로 하는 일본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은 6위에 이름을 올렸다.[4]
1986년부터 선정되었으며, 매년 시점이 앞당겨지고 있다.[2] 세계 인구가 현재 추세로 사용하는 자원은 지구가 1.7개 있어야 감당할 수 있는 규모이며, 2030년이 되면 지구 2개에 해당하는 자원을 소비하게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1]
마티스 웨커네이걸 GFN 대표는 "가장 큰 문제는 인류의 부채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점이 아니라 지구가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없다는 점"이라며 "인류는 생태적 적자상태에 있으면서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5]
산출 방식
[편집]산출 방법은 인간의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7]을 계산하고 생태계의 자원 재생산 능력인 생태용량(Biocapacity)를 비교하는데, 과거 인구와 소비 증가율, 세계 총 생산량과 자원소비에 기초하여 예상 수치를 낸다. 이는 영국 신경제재단(New Economics Foundation)이 제안한 개념이다.[8]
- 지구 생태용량 초과의 날 = [(지구 생태 용량) / (지구 생태발자국)] X 365[8]
연도별 생태용량 초과의 날 | |||
---|---|---|---|
연도 | 날짜 | 연도 | 날짜 |
1987년 | 12월 19일 | 2012년 | 8월 22일 |
1990년 | 12월 7일 | 2013년 | 8월 20일 |
1995년 | 11월 21일 | 2014년 | 8월 19일 |
2000년 | 11월 1일 | 2015년 | 8월 13일 |
2005년 | 10월 20일 | 2016년 | 8월 8일 |
2007년 | 10월 26일 | 2017년 | 8월 2일 |
2008년 | 9월 23일 | 2018년 | 8월 1일 |
2009년 | 9월 25일 | 2019년 | 7월 29일 |
2010년 | 8월 21일 | 2020년 | 8월 22일 |
2011년 | 9월 27일 |
각주
[편집]- ↑ 가 나 김보경 (2017년 8월 2일). “"인류, 올한해치 생태자원 오늘로 다썼다"”. 《연합뉴스》 (서울). 2017년 8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한상희 (2017년 7월 26일). “8월 2일은? '지구용량 초과의 날'”. 《에너지경제》. 2017년 8월 2일에 확인함.
- ↑ 미국인처럼 생활한다면 4.8개, 한국인처럼 생활한다면 3.3개를 필요로 한다.
- ↑ 이현미 (2016년 8월 8일). “[이슈탐색] 오늘 이후 우리는 지구에 빚을 지게 됩니다”. 《세계일보》. 2017년 8월 2일에 확인함.
- ↑ 손미혜 (2015년 8월 13일). “인류, 2015년 주어진 지구자원 225일만 모두 소진”. 《뉴스1》 (서울). 2017년 8월 2일에 확인함.
- ↑ 변지영 (2016년 8월 9일). “WWF "한국생태발자국 보고서" 한국인 생활습관으로 살면 3.3개 지구가 필요”. 《일요서울》. 2017년 8월 2일에 확인함.
- ↑ 인간이 소비하는 자원의 양을 그 자원의 생산에 필요한 땅 면적으로 환산해 표시한 것[6]
- ↑ 가 나 전상천 (2009년 11월 6일). “'시한부 지구' 죽음의 시간이 빨라진다”. 《경인일보》. 2017년 8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