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나들목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내면 사암리, 신촌리 |
---|---|
개통일 | 1995년 8월 29일 |
중앙고속도로 | |
구조물 번호 | 37 |
부산 기점 386.00 km ← 춘천 분기점 (12.88 km) 춘천종점 → (1.09 km) | |
접속노선 | 국도 제46호선 |
춘천 나들목(Chuncheon IC)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내면 사암리와 신촌리에 걸쳐 설치된 중앙고속도로의 37번 교차로이다. 나들목 진출입로는 동내면 고은리와 접하고 있으며, 동내면, 춘천시내로 진출할 수 있다. 국도 제5호선과 국도 제46호선이 만나는데 진출로가 2개이고, 처음에는 국도 제46호선 (양구, 인제 방향), 이어서 국도 제46호선 (서울, 가평 방향)과 만난다. 중앙고속도로의 종점은 이 나들목에서 춘천방향으로 1.09 km 떨어진 지점(춘천시내 방면, 국도 제5호선 합류)에 있다.
연혁
[편집]- 1992년 6월 9일 : 나들목 건설을 위해 강원도 춘성군 동내면 사암리 ~ 신촌리 8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
- 1995년 8월 29일 : 중앙고속도로 홍천 ~ 춘천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2]
구조물 정보
[편집]접속하는 도로
[편집]- 국도 제46호선 (순환대로(구 잼버리길 또는 잼버리도로))
- 간접 연결 : 국도 제5호선 (영서로, 학곡사거리 이용)
춘천 요금소
[편집]춘천 요금소(春川料金所, Chuncheon TG)는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내면 고은길 88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 본선 상의 요금소이다. 춘천 나들목에서 동쪽으로 약 900m 떨어진 곳에 있다.
본래 요금소는 춘천시 동산면 조양리[3]에 위치했으나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서로 접속되는 춘천 분기점이 이 요금소보다 북쪽에 위치하는 곳에 설치되면서 요금소 이전을 추진, 2009년 6월 18일에 기존 요금소에서 북쪽으로 13.2 km 떨어진 동내면 고은리로 이전했다.[4]
2021년 9월 14일 다차로 하이패스가 개통하면서 영업을 재개하였다.
연혁
[편집]- 2008년 5월 19일 : 2009년까지 요금소 이전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 사암리 4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5]
- 2009년 6월 18일 : 기존 요금소에서 북쪽으로 13.2 km 떨어진 동내면 고은리로 이전
- 2021년 9월 14일 : 다차로 하이패스 개통과 함께 영업 재개.
춘천 방향(상행선)
[편집]-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 1차로
- 일반 진출차로 : 2,3,4차로
부산 방향(하행선)
[편집]-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 1차로
- 일반 진입차로 : 2,3차로
교통량 정보
[편집]춘천 요금소 기준이다.
요금소 | 통행량 (대/일) | 각주 | |||||||||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춘천 (폐쇄식) | 7,404 | 8,076 | 7,846 | 7,846 | 7,700 | 7,739 | 8,253 | 8,130 | 10,647 | 13,472 | [6] |
춘천 (개방식) | 11,936 | 폐쇄식으로 변경 | |||||||||
요금소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춘천 (폐쇄식) | 13,640 | 12,993 | 12,743 | 12,964 | 13,596 | 14,519 | 15,100 | 15,473 | 16,234 |
각주
[편집]- ↑ 건설부고시 제1992-283호, 1992년 6월 9일.
-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249호, 1995년 8월 26일.
- ↑ 조양길 112
- ↑ 중앙고속도 춘천영업소 18일 조기 이전, 뉴시스, 2009년 6월 16일 작성.
-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163호, 2008년 5월 19일.
- ↑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 | 이 글은 도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