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심

12심(十二心)은 '마음마음작용' 즉 '심법심소법'이 항상 상응하여 작용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마음마음작용이 함께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心) 즉 마음이라 할 때, 그것에 다음 목록과 같은 12가지의 구분 또는 (相)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12유형의 마음 또는 마음의 12유형을 말한다. 12심은 《구사론》 제7권 등에 나오는 유형 구분이다.[1]

  1. 욕계(欲界)의 선심(善心)
  2. 욕계(欲界)의 불선심(不善心)
  3. 욕계(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4. 욕계(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5. 색계(色界)의 선심(善心)
  6. 색계(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7. 색계(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8. 무색계(無色界)의 선심(善心)
  9. 무색계(無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10. 무색계(無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11. 불계(不界)의 학무루심(學無漏心)
  12. 불계(不界)의 무학무루심(無學無漏心)

구사론》을 포함한 불교 일반에 따르면, 색계무색계에는 불선심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번뇌 가운데 불선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유부무기만 존재한다.[1] 번뇌불선()과 유부무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번뇌잡염이라고도 한다. 무부무기번뇌(잡염)가 아니며 또한 (善)도 아니며 무루도 아니다.

12심

[편집]
  1. 욕계(欲界)의 선심(善心): 욕계선한 마음
  2. 욕계(欲界)의 불선심(不善心): 욕계악한 마음
  3. 욕계(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욕계유부무기마음
  4. 욕계(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욕계무부무기마음
  5. 색계(色界)의 선심(善心): 색계선한 마음
  6. 색계(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색계유부무기마음
  7. 색계(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색계무부무기마음
  8. 무색계(無色界)의 선심(善心): 무색계선한 마음
  9. 무색계(無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무색계유부무기마음
  10. 무색계(無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무색계무부무기마음
  11. 불계(不界)의 학무루심(學無漏心): 유학(有學)의 성자무루심(無漏心): 예류향에서 아라한향까지의 성자출세간마음
  12. 불계(不界)의 무학무루심(無學無漏心): 무학(無學)의 성자무루심(無漏心): 아라한 즉 '아라한과성자'의 출세간마음

선심 · 불선심 · 유부무기심 · 무부무기심 · 무루심

[편집]

부파불교

[편집]

부파불교설일체유부마음작용의 구분 즉 심소의 구분에 따르면, 선심 · 불선심 · 유부무기심 · 무부무기심 · 무루심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대승불교

[편집]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마음작용의 구분 즉 심소의 구분에 따르면, 선심 · 불선심 · 유부무기심 · 무부무기심 · 무루심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참고 문헌

[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1. 佛門網, "十二心". 2013년 4월 30일에 확인
    "十二心: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dvādaśa cittāni, dvādaśa-vidhasya vijñānasya.
    頁數: P.365 - P.368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俱舍論七卷八頁云:前已總說諸心心所、前能為後等無間緣。未決定說,何心無間,有幾心生?復從幾心,有何心起?今當定說。謂且略說:有十二心。云何十二?頌曰:欲界有四心。善惡覆無覆。色無色除惡。無漏有二心。論曰:且於欲界,有四種心。謂善、不善、有覆無記、無覆無記。色無色界,各有三心。謂除不善。餘如上說。如是十種,說有漏心。若無漏心;唯有二種。謂學無學。合成十二。"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佛門網"[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29682E58D81E4BA8CE5BF83 十二心]". 2013년 4월 30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