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처

12처(十二處)는 불교의 여러 일체법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 중 하나로, 존재 전체를 안처(眼處) · 이처(耳處) · 비처(鼻處) · 설처(舌處) · 신처(身處) · 의처(意處)의 6근(六根) · 6내처(六內處) 또는 6내입처(六內入處)[주해 1]색처(色處) · 성처(聲處) · 향처(香處) · 미처(味處) · 촉처(觸處) · 법처(法處)의 6경(六境) · 6외처(六外處) 또는 6외입처(六外入處)[주해 1]의 총 12가지 처(處)로 분류 또는 분석하는 법체계이다.[1][2][3][4]

12처는 12입(十二入) 또는 12입처(十二入處)라고도 한다.[1][5]

12처(十二處)에서 (處, 산스크리트어: āyatana, 팔리어: āyatana)는 마음[心]과 마음작용[心所]을 생장(生長: 생겨나고 증대됨)시키는 문(門, dvāra)이라는 뜻을 가진다.[6] 이것은, 달리 말하면, 12처의 각 처(處)가 현재 생겨나 있지 않은 마음마음작용을 생겨나게 하고 이미 생겨나 있는 마음마음작용의 세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6]

12처에서 마음에 해당하는 의처(意處)와 마음작용마음작용의 대상을 합친 것에 해당하는 법처(法處)를 제외한 나머지 10가지 처, 즉 5근(五根)과 5경(五境)을 통칭하여 10색입(十色入) 또는 10색처(十色處: 마음과 마음작용을 생겨나게 하고 강화시키는 10가지 물질의 문)라고 하는데,[7] 부파불교의 전승에 따르면, 고타마 붓다는 유독 물질[色]에 어리석어 물질을 나[我]라고 집착하는 유형의 수행자들에게 물질5근(五根)과 5경(五境), 즉 10색처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12처를 설하였다고 한다.[8]

12처

[편집]

12처를 현대적인 용어로 풀이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6근(六根) 또는 6내처(六內處): 주관
    1. 안처(眼處): 시각 기관, 즉
    2. 이처(耳處): 청각 기관, 즉
    3. 비처(鼻處): 후각 기관, 즉
    4. 설처(舌處): 미각 기관, 즉
    5. 신처(身處): 촉각 기관, 즉
    6. 의처(意處): 인식생각의 기관, 즉 마음(의식)
  2. 6경(六境) 또는 6외처(六外處): 객관
    1. 색처(色處): 시각 기관의 지각 대상, 즉 색깔이나 형태(모양크기)를 가진 물질 일반, 즉 소리 · 냄새 ·  · 감촉을 제외한 모든 물질적 성질
    2. 성처(聲處): 청각 기관지각 대상, 즉 소리
    3. 향처(香處): 후각 기관지각 대상, 즉 냄새
    4. 미처(味處): 미각 기관지각 대상, 즉
    5. 촉처(觸處): 촉각 기관지각 대상, 즉 감촉
    6. 법처(法處): 마음작용 및 마음작용의 대상

마지막 법처(法處)의 마음작용의 대상에는 특히 무위법(열반 · 진여 · 법성 등)이 포함된다.[1] 무위법을 제외하면 법처(法處)의 마음작용의 대상은 대체로 개념(또는 비물질적 사물)이라 할 수 있다.

법처(法處)의 마음작용으로는 탐욕 · 성냄 · 어리석음 · 탐욕 없음 · 성냄지 않음 · 지혜로움 · 인식 · 표상 · 분석 · 종합 · 판단 · 생각 · 욕구 · 의지 · 관조 · 집중 · 몰입 등이 있다.

3과와 12처

[편집]

12처초기불교 때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일체법의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인 5온(五蘊) · 12처(十二處) · 18계(十八界)의 3과(三科)의 하나이다.[9][10] 즉, 고타마 붓다는 가르침을 펼치는 중에 존재 전체를 한편으로는 5온을 통해 설명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12처를 통해 설명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18계를 통해 설명하기도 하였다고 전하는데, 이 3가지는 초기불교 이래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본적인 존재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 즉 기본적인 법체계가 되었다. 그리고 초기불교의 이 3가지 법체계들은 고타마 붓다반열반에 든 후의 후대에서 더욱 심화 · 발전되어 부파불교설일체유부5위 75법법체계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법체계 등으로 나타났다.

구사론》 등의 아비달마 논서들에 따르면, 고타마 붓다5온(五蘊) · 12처(十二處) · 18계(十八界)의 3가지 법체계, 즉 3과(三科)의 분석방식으로 가르침을 편 것은 다음의 3가지 이유 때문이라고 한다.[11]

  1. 수행자의 어리석음에 3가지 유형이 있기 때문이다.
  2. 수행자의 근기(根機: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능력)에 3가지 유형이 있기 때문이다.
  3. 수행자가 좋아하는 것에 3가지 유형이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의 수행자의 어리석음의 3가지 유형과 해당 유형의 수행자들에 대해 고타마 붓다가 가르친 법체계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8]

  1. 마음작용[心所]에 어리석어 마음작용을 모두 나[我]라고 집착하는 유형:
    마음작용(受: 지각) · (想: 표상) · (行: 思라고도 한다, 욕구와 의지)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5온을 설하였다.
  2. 유독 물질[色]에 어리석어 물질을 나[我]라고 집착하는 유형:
    물질5근(五根)과 5경(五境)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12처를 설하였다.
  3. 물질[色]과 마음[心: 여기서는, 마음과 마음작용을 합한 것] 모두에 어리석어 물질마음(여기서는, 마음과 마음작용을 합한 것)의 개별 또는 화합체를 나[我]라고 집착하는 유형:
    물질마음(여기서는, 마음과 마음작용을 합한 것)을 각각 10가지와 8가지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18계를 설하였다.

두 번째의 수행자의 근기(根機: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능력)의 3가지 유형과 해당 유형의 수행자들에 대해 고타마 붓다가 가르친 법체계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8]

  1. 예리한[利] 근기의 유형: 5온을 설하였다.
  2. 중간[中] 근기의 유형: 12처를 설하였다.
  3. 둔중한[鈍] 근기의 유형: 18계를 설하였다.

세 번째의 수행자가 좋아하는 것의 3가지 유형과 해당 유형의 수행자들에 대해 고타마 붓다가 가르친 법체계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12]

  1. 간략한 글[略文]을 좋아하는 유형: 5온을 설하였다.
  2. 중간의 글[中文]을 좋아하는 유형: 12처를 설하였다.
  3. 자세한 글[廣文]을 좋아하는 유형: 18계를 설하였다.

주요 경문

[편집]

일체법12처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과 관련하여 고타마 붓다의 사상을 잘 보여주는 간략하면서도 함축적인 짧은 경문(經文)으로 《잡아함경》 제13권의 제319경이 종종 인용되곤 한다.[9] 이 제319경을 보통 〈일체경(一切經)〉이라고 한다.[13] 〈일체경(一切經)〉은 생문(生聞)이라는 이름의 브라만, 즉 당시의 힌두교브라만교의 사제 또는 수행자였던 어떤 사람이 고타마 붓다에게 "무엇이 일체의 존재, 즉 나 자신을 포함한 우주 만물 그 자체 또는 우주 만물의 실체입니까?"하고 묻는 것으로 시작되며, 이 물음에 대한 고타마 붓다의 대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 경문에서 고타마 붓다는 질문을 던진 생문(生聞) 브라만에게 5온 · 12처 · 18계3과(三科) 가운데 12처를 설하고 있는데, 부파불교의 전승에 따르면, 12처법체계는 유독 물질[色]에 무지한 수행자들이 그 무지 때문에 [오히려] 가지게 되는 "물질[色]을 나[我]라고 집착하는 오류"를 대치(對治)하기 위해, 물질[色]을 5근(五根)과 5경(五境)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법체계이다.[8]

「瞿曇!所謂一切者,云何名一切?」

佛告婆羅門:「一切者, 謂十二入處,眼色、耳聲、鼻香、舌味、身觸、意法, 是名一切。若復說言此非一切, 沙門瞿曇所說一切,我今捨,別立餘一切者,彼但有言說, 問已不知,增其疑惑。所以者何?非其境界故。

생문(生聞) 브라만고타마 붓다에게 "흔히들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라는 말을 하는데,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다.

고타마 붓다는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라는 것은 12입처(十二入處)를 말한다. 즉 안근과 색경, 이근와 성경, 비근와 향경, 설근과 미경, 신근과 촉경, 의근(정확히는 의처)과 법경의 12가지를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라고 한다.

"만약 당신이 '나는 사문(沙門) 고타마가 말하는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를 [진정한 일체라고 인정할 수 없으므로, 그가 말하는]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를 버리고 다른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를 세우겠다'고 말한다면, 그렇게 해서 세우는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는 단지 말에 지나지 않는 것일 뿐이다. [즉, 실제의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를 외면하고 개념적으로 만들어낸 가설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에 대해 [당신에게] 물어도 그 사람은 [당신의 대답에서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에 대한] 지식을 얻지 못할 것이며 오히려 [당신의 주장 또는 이론 때문에] 더 큰 의문만 가지게 될 것이다. 왜 그런가? [당신이 12처라는 일체법의 체계를 버리고, 임의대로 생각하여] 그렇게 세운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는 경계(境界: 세력 범위이자 작용 대상, 즉 실제로 존재하는 것[주해 2])가 아니기 때문이다. [즉, 그렇게 세운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는 6근과 6경과는 멀리 떨어진 가설적인 것, 개념적인 것, 즉 말만의 것이기 때문에 경험(수행)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말(개념)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이론을 계속 세워나갈 수 있는

그런 대상이기 때문이다.]"

— 《잡아함경》 제13권 제319경. 한문본한글본

12처을 설하고 있는 다른 주요 경문으로는 상좌부 불교의 《중부(中部, 맛지마 니까야)》의 제148경인 〈육륙경(六六經)〉, 부파불교의 《중아함경(中阿含經)》의 제21권 제86경인 〈설처경(說處經)〉, 《잡아함경(雜阿含經)》의 제13권 제304경인 〈육륙경(六六經)〉 등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K.650,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50(18-707), T.99(2-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주해

[편집]
  1. 내외(內外)는 내적인 것[內]과 외적인 것[外]을 말한다.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에 따르면, 마음, 즉 6식(識)은 아집(我執, ahaṃkāra)의 의지처가 되기 때문에 나[我]라고 가설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12처(處) 중 내적인 것은 나[我]의 소의(所依)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根), 즉 앞의 6처(處)를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我]의 소연(所緣)이 되는 먼 것인 6경(境), 즉 뒤의 6처(處)를 말한다. 18계(界)의 경우, 내적인 것은 나[我]의 소의(所依)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根)과 6식(識)을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我]의 소연(所緣)이 되는 먼 것인 6경(境)을 말한다.
  2. 잡아함경》의 제319경인 이 〈일체경(一切經)[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다음의 경인 제320경 〈일체유경(一切有經)[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에서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생문 브라만이 다시 고타마 붓다에게 묻고 있으며, 고타마 붓다는 그 물음에 답하고 있다.

각주

[편집]
  1. 星雲, "十二處".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十二處: 指六根加六境。又作十二入、十二入處。處為梵語 āyatana 之譯,乃養育、生長之意。即長養心、心所之法,計分為十二種,乃眼、耳、鼻、舌、身、意、色、聲、香、味、觸、法等處。前六處為六根,係屬主觀之感覺器官,為心、心所之所依,有六內處之稱;後六處為六境,屬客觀之覺知對象,為心、心所之所緣,稱六外處。此十二處攝盡一切法,若配於五蘊,眼、耳、鼻、舌、身、色、聲、香、味、觸等十色處,相當於色蘊;意處即為識蘊,賅攝六識及意界之七心界;法處為受、想、行三蘊,即賅攝四十六心所、十四不相應行、無表色及三無為等六十四法。〔雜阿含經卷十三、大毘婆沙論卷七十一〕"
  2. 운허, "十二處(십이처)".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十二處(십이처): 6근(根)과 그 대상인 6경(境). 이 6근과 6경이 접촉하여 온갖 정신 작용이 일어남. ⇒삼과(三科)·촉입(觸入)"
  3. 佛門網, "六外入處". 2013년 5월 22일에 확인
    "六外入處: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參看「外入處」。"
  4. 佛門網, "外入處". 2013년 5월 22일에 확인
    "外入處: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指色(眼之所見物)、聲、香(鼻所聞的氣味)、味(舌頭所嚐的味道)、觸(身體所接觸)、法(心之所念)等「六境」(又作「六外入處」、「外六入處」、「六塵」、「外六塵」),參看「外」、「處」。"
  5. 운허, "十二入(십이입)".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37 / 1397쪽.
  7. 星雲, "色蘊".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
    "色蘊: 梵語 rūpa-skandha,巴利語 rūpa-kkhandha。又作色陰、色受陰。為五蘊之一。色,為變礙義;佔有一定空間,且會變壞者,稱之為色。而色之聚集,稱為色蘊;亦即有質礙、變礙諸法之類聚。
     依據俱舍論卷一所載,色係指五根(眼耳鼻舌身)、五境(色聲香味觸)及無表色。五根為眼、耳等五識之所依,為五種淨色。五境為眼、耳等五根所取之五種境界。
     五境中之色,有青黃赤白、長短方圓等二十種。青黃赤白等十二種,稱顯色;長短方圓等八種,稱形色。聲,分為有執受大種因、無執受大種因等八種聲。香,有好香、惡香、等香、不等香四種之別。味,有甘、醋、鹹、辛、苦、淡等六種。觸,有地、水、火、風四大種,及滑性、澀性、重性、輕性,並冷、餓、渴等十一種。無表色,謂意識緣於過去所見之境,雖分別明了,而無表對,故稱無表;雖無所表,而於所緣之境執著不忘,故稱為色。
     於上述諸色法中,又可依其一一法之性質而歸納成下列之數種分類。據雜阿含經卷三載,色受陰即所有之色;乃一切四大及四大所造之色。其中,地水火風四大種,是為能造,而色聲等,是為所造。阿毘曇心論經卷一載,色有二種:(一)微塵積聚之色,指眼、耳乃至味、觸等十色入,又稱十色處。(二)非微塵積聚之色,指無教色(無表色),為法入之所攝。又雜阿含經卷十三、集異門足論卷三、俱舍論卷十三等,將色分為有見有對、無見有對、無見無對三種。有見有對,又作可見有對。因其可示現彼此之差別,故為有見;以其有障礙,故為有對;即指極微所成,眼根所取之色境。無見有對,又作不可見有對。雖有障礙而不可見,即指五根及聲香味觸之四境。無見無對,乃不可見無障礙之法,即指無表色。
     依據顯揚聖教論卷五所載,色蘊略有五種相,即:(一)自相,即色身諸法各有不同之自相,如堅是地相,溼是水相,煖是火相,動是風相。(二)共相,即色身諸法和合之相,謂一切色身皆從地水火風和合為相。(三)所依能依相屬相,即色身四大種是所依相,四大造色是能依相。(四)受用相,謂眼等諸根有增上力,故諸色塵境界得以產生,遂有苦樂逆順受用之相。(五)業相,謂色身能作種種業行之相,故一切業行,皆依色身攝受增長。〔雜阿含經卷二、增一阿含經卷二十六、大毘婆沙論卷七十五、卷七十六、卷一二八、雜阿毘曇心論卷一、卷二、順正理論卷一、大乘阿毘達磨集論卷一、大乘百法明門論、成唯識論卷一、卷二、俱舍論光記卷一、大乘法苑義林章卷五本、止觀輔行傳弘決卷五之一〕(參閱「五蘊」1212)"
  8.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40 / 1397쪽.
  9. 권오민 2003, 49–56쪽.
  10. 운허, "三科(삼과)".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1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40-41 / 1397쪽.
  1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41 / 1397쪽.
  13.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 K.650, T.99, 495 / 214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