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ㅇ)

바로가기:

아가사[편집]

아가사(阿迦舍, 산스크리트어: ākāśa)는 허공(虛空)의 다른 말이다.

아뇩다라[편집]

아뇩다라(阿耨多羅, 산스크리트어: anuttara, 팔리어: anuttara, 영어: unsurpassed[1])는 산스크리트어 아누타라(anuttara)의 음역어로, 의역하여 무상(無上) 또는 무답(無答)이라고 한다.[2][3][4] 무상사(無上士)라고도 번역하며, 여래10호 가운데 하나이다.[5]

아사[편집]

아사(我事)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나의 일' 또는 '나에 관련된 일'로, 5온의 개별 또는 다수를 '나[我]' 또는 '내 것[我所]'이라고 계집(計執: 계탁하여서, 생각하여서 집착함, 헤아려서 집착함)하는 것, 즉 5온의 개별 또는 다수를 '나[我]' 또는 '내 것[我所]'이라고 계탁하여서 5온의 개별 또는 다수에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6][7][8][9]

대승아비달마집론》과 《잡집론》에 따르면, 아사(我事)에는 신구아사(身具我事) · 수용아사(受用我事) · 언설아사(言說我事) · 조작일체법비법아사(造作一切法非法我事) · 피소의지아자체사(彼所依止我自體事)의 5가지가 있으며, 이들 5가지는 크게 아상사(我相事)와 아소사(我所事)로 분류된다.[6][7][8][9]

아상사(我相事)는 '나[我]라는 계집(計執)', 즉, 5온의 개별 또는 다수를 '나[我]'라고 계탁하여서 5온의 개별 또는 다수에 집착하는 것을 말하며, 피소의지아자체사아상사에 속한다.[8][9]

아소사(我所事)는 '내 것[我所]이라는 계집(計執)', 즉, 5온의 개별 또는 다수를 '내 것[我所]'이라고 계탁하여서 5온의 개별 또는 다수에 집착하는 것을 말하며, 신구아사 · 수용아사 · 언설아사 · 조작일체법비법아사의 4가지가 아소사에 속한다.[8][9]

잡집론》에 따르면, 세간유정들 즉 성인의 가르침(특히, 불교)을 받지 못한 일반 사람들은 대부분 5온 가운데 식온에 대해 '나[我]'라고 계집(計執)하는 일, 즉 아상사를 가지며, 그 밖은 다른 , 즉 색온 · 수온 · 상온 · 행온에 대해서는 '내 것[我所]이라고 계집(計執)하는 일, 즉 아소사를 가진다.[8][9]

아집[편집]

아집(我執)은 인간 자신 속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있다고 보는 견해 또는 집착이다.[10] 아집번뇌장(煩惱障)이라고도 한다.[11]

악견[편집]

악견(惡見)은 '진리에 어긋나는 잘못된 견해'라는 뜻으로 부정견(不正見)과 같은 말이다. '잘못된 견해' 또는 '삿된 견해'라는 뜻의 사견(邪見)과도 같은 말이며, '망녕된 견해'라는 뜻의 망견(妄見)과도 같은 말이며, '번뇌에 오염된 견해'라는 뜻의 염오견(染汚見)과도 같은 말이다. '바른 견해'라는 뜻의 정견(正見)의 반대말이다.[12][13][14][15][16][17] 자세한 내용은 부정견을 참조하십시오.

악구[편집]

악구(惡口)는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또는 남을 성내게 할 만한 나쁜 말을 말한다. 추악어(麤惡語) 또는 조악어(粗惡語)라고도 한다.[18][19][20]

악구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악법[편집]

악법(惡法)은 불선법(不善法)의 다른 말이다. 불선법착하지 않은 법이라고도 한다.

악작[편집]

악작(惡作, 산스크리트어: kaukṛitya, kaukritya, 팔리어: kukkucca, 영어: regret, worry) 또는 ()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악작(惡作)은 후회(後悔)를 뜻하며, 후회를 전통적인 불교용어로는 추회(追悔)라고 한다. 간단히, (悔)라고도 한다. 또한, 이전의 잘못된 행위를 후회한다는 뜻의 악작(惡作: 즉, 잘못된 행위 → 후회)은 이전의 잘못된 행위를 염오(厭惡) 또는 혐오(嫌惡)한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는데, 이 입장에서는 오작(惡作: 잘못된 행위를 미워함)이라고도 한다.[38][39][40][41][42][43][44]

악행[편집]

1. 악행(惡行)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악독(惡毒)한 행위'[45] 또는 '마음이 흉악하고 독한 행위'[46]를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행동으로 지은 일체의 불선(不善)의 행위를 말한다. 즉, 일체의 불선(不善)의 3업(三業), 즉 일체의 불선(不善)의 신업(身業) · 구업(口業) · 의업(意業)을 말한다.[47][48] 불선(不善)은 (惡)이라고도 하며,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것을 말한다.[49]

장아함경》 제8권에는 불선(不善)의 신업(身業)을 신악행(身惡行)이라 하고, 불선(不善)의 구업(口業)을 구악행(口惡行), 불선(不善)의 의업(意業)을 의악행(意惡行)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악행(惡行)은 신악행 · 구악행 · 의악행의 3악행(三惡行)을 말한다.[47]

불교에서는 모든 악행 중에서 승가(僧迦)의 화합을 파괴하는 파승(破僧), 즉 파화합승(破和合僧)의 악행을 가장 악한 행위로 본다.[48] 즉, 불교에서는 진리를 전수하고 그리고 그것을 전수받을 사람들이 함께 모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진리를 전할 수 있는 기회조차도 박탈시키는 것을 최악의 악행으로 본다.

2. 악행(惡行)은 번뇌(煩惱)의 동의어로도 사용된다.[48]

악혜[편집]

악혜(惡慧)는 부정지(不正知)의 다른 말이다.[50]

[편집]

1. [內]은 외적인 것[外]에 대해 내적인 것[內]을 뜻한다. 참고: 내외(內外)

2. (安)은 경안(輕安)의 다른 말이다.

3. (眼)은 시각기관을 말하며 안근(眼根)의 다른 말이다.

안근[편집]

안근(眼根, 산스크리트어: caksur-indriya, 팔리어: cakkhundriy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안근(眼根)은 시각기관을 말하며, 부파불교설일체유부에 따르면 안근안식(眼識)의 소의(所依: 발동근거, 의지처, 도구)가 되는 정색(淨色: 맑고 투명한 물질)이다.[63][64]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에 따르면 안근안식(眼識)의 소의(所依: 발동근거, 의지처, 도구)가 되는 정색(淨色: 맑고 투명한 물질)인데, 다만 이 정색아뢰야식에 존재하는 종자일 뿐이라고 하는 난타(難陀) 등의 견해와 종자와는 별도의 현행하는 정색이라는 호법(護法) 등의 견해가 있다.[65]

마치 거울이 대상을 비추는 것처럼 안근색경(色境)을 비추어 받아들이는데[取境], 이와 같이 안근색경을 연(緣)하여 안식(眼識)이 생겨난다[發識]. 이 때의 안근색경안식의 화합을 안촉(眼觸)이라고 한다.[65][66][67][68][69]

안식[편집]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안식(眼識)은 (識), 즉 마음, 즉 안식(眼識) · 이식(耳識) · 비식(鼻識) · 설식(舌識) · 신식(身識) · 의식(意識)의 6식신(六識身) 가운데 하나로,[70][71] 안근[眼]과 색경[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생겨나는 안근의 인식[眼識]을 말한다. 이 때 안근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색경소연(所緣)이 된다. 안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색경에 대한[於眼所識色] 모든 이정당요별(已正當了別) 즉 과거요별[已了別] · 현재요별[正了別] · 미래요별[當了別]을 통칭하여 안식(眼識)이라 이름한다.[72][73]

안온주[편집]

안온주(安穩住) 또는 안온한 머무름안은주(安隱住)라고도 한다.[74] 안온(安穩)과 안은(安隱)은 같은 말이다.[75][76][77]유가사지론》 제75권에 따르면, 안은주(安隱住)는 번뇌(煩惱)와 (苦)의 단멸(斷滅)이 증득된 상태를 말한다.[74]

안온주 또는 안은주가 아닌 상태를 불안온주(不安穩住) 또는 불안은주(不安隱住)라고 한다.[78][79]

안촉[편집]

안촉(眼觸)은 안촉(眼觸) · 이촉(耳觸) · 비촉(鼻觸) · 설촉(舌觸) · 신촉(身觸) · 의촉(意觸)의 6촉(六觸) 가운데 하나이다.[80][81][82][83] 안촉신(眼觸身)이라고도 한다.[84][85][86]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안촉(眼觸)은 안근[眼]과 색경[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안식(眼識)이 생겨날 때의 안근 · 색경 · 안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한 [三和合故觸]이다. 이 때 안근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색경소연(所緣)이 된다. 안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색경에 대한[於眼所識色] 모든 (觸: 3화합) · 등촉(等觸: 평등한 3화합) · 촉성(觸性: 3화합의 성질) · 등촉성(等觸性: 평등한 3화합의 성질) · 이촉(已觸: 과거의 3화합) · 촉류(觸類: 3화합의 등류)를 통칭하여 안촉(眼觸)이라 이름한다.[87][88]

안촉소생사[편집]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89][90]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는 안근[眼]과 색경[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안식(眼識)이 생겨날 때, 안근 · 색경 · 안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思)이다.
이 때 안근안촉소생사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색경안촉소생사소연(所緣)이 된다. 안촉안촉소생사(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안촉소생사안촉소생작의(眼觸所生作意) 즉 안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안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색경에 대한[於眼所識色] 모든 (思: 심조작, 마음으로 짓고 만듦) · 등사(等思: 그 모두에 대한 심조작) · 증상등사(增上等思: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심조작) · 이사(已思: 과거의 심조작) · 사류(思類: 심조작의 등류) · 심작의업(心作意業: 마음으로 의업을 지음)을 통칭하여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라 이름한다.

안촉소생애[편집]

  12연기
혹: 주황
업: 파랑
고: 노랑
 
① 무명
② 행
③ 식
④ 명색
⑤ 6입
⑥ 촉
⑦ 수
⑧ 애
⑨ 취
⑩ 유
⑪ 생
⑫ 노사
v  d  e  h

안촉소생애(眼觸所生愛)는 안촉소생애 · 이촉소생애 · 비촉소생애 · 설촉소생애 · 신촉소생애 · 의촉소생애6애신(六愛身) 가운데 하나이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91][92]

안촉소생애(眼觸所生愛)는 안근[眼]과 색경[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안식(眼識)이 생겨날 때, 안근 · 색경 · 안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나고 그런 후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愛)이다.
이 때 안근안촉소생애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색경안촉소생애소연(所緣)이 된다.
안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색경에 대한[於眼所識色] 모든 (貪) · 등탐(等貪) · 집장(執藏) · 방호(防護) · 탐착(耽著) · 애락(愛樂)을 통칭한다. 즉, 시각적 대상에 대한 (貪) · 그 모두에 대한 탐[等貪] · 꽉 쥐어서 간직함[執藏] · 빼앗기지 않기 위해 막아 수호함[防護] · 빠져서 들러붙음[耽著] · 갈망하며 좋아함[愛樂]의 마음작용을 통칭하여 안촉소생애(眼觸所生愛)라 이름한다.

안팎[편집]

안팎[內外]은 내적인 것[內]과 외적인 것[外]을 말한다. 내외(內外)의 다른 말이다.

[편집]

(愛)는 (貪)의 다른 말이다.

(貪)은 갈애(渴愛, 산스크리트어: trsnā· (欲) · (愛) · 애탐(愛貪) · 탐독(貪毒) · 탐애(貪愛) · 탐욕(貪欲) 또는 탐착(貪著, 貪着)이라고도 한다.[93][94][95]

애결[편집]

애결(愛結)은 애결(愛結) · 에결(恚結) · 만결(慢結) · 무명결(無明結) · 견결(見結) · 취결(取結) · 의결(疑結) · 질결(嫉結) · 간결(慳結)의 9결(九結) 가운데 하나이다.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에 따르면,

애결3계탐(三界貪), 즉 3계(三界)의 (貪)을 말한다.[96][97]욕탐(欲貪) · 색탐(色貪) · 무색탐(無色貪)을 말한다.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에 따르면,

애결3계탐(三界貪), 즉 3계(三界)의 (貪), 즉 욕탐(欲貪) · 색탐(色貪) · 무색탐(無色貪)을 말한다. 마음애결3계탐에 의해 묶이게[所繫] 되면 마음3계불염(不厭: 싫어하지 않음[98])하는 상태가 된다. 3계불염하기 때문에 불선을 널리 행하고 갖가지 을 행하지 않게 된다. 불선은 행하고 은 행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세(苦)를 불러들이고(苦)와 상응하게 된다.[99][100][101][102]

애락[편집]

애락(愛樂)은 좋아하고 즐김 또는 즐기고 좋아함의 뜻으로, 긍정적인 뜻으로도 쓰이고 부정적인 뜻으로도 쓰인다.[103][104][105]

긍적적인 뜻으로 쓰이는 경우, 선심소에 속하는 (信) 즉 믿음마음작용이 지닌 신실유(信實有) · 신유덕(信有德) · 신유능(信有能)의 3가지 측면으로 인해 세간출세간(善)을 닦고 증득함을 좋아하고 즐기는[愛樂] 것을 말한다.[106][107][108][109]

부정적인 뜻으로 쓰이는 경우, '자신소의신'과 '(色) 등의 외적 사물'에 대해 즐거워하고 기뻐하며 구하고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105][110][111][112] 또는 숙세(宿世)의 이미 익힌 습관[串習] 즉 염오한 습기에 의해 애욕 또는 갈애일어나는 것을 말한다.[104][113] 즉, 부정적인 뜻으로 쓰이는 경우, 애락애욕 · 갈애 · 탐욕 · 미착 · 집착 · 탐착을 뜻한다.

애탐[편집]

애탐(愛貪)은 (貪)의 다른 말이다.

(貪)은 갈애(渴愛, 산스크리트어: trsnā· (欲) · (愛) · 애탐(愛貪) · 탐독(貪毒) · 탐애(貪愛) · 탐욕(貪欲) 또는 탐착(貪著, 貪着)이라고도 한다.[93][94][95]

[편집]

(軛, 산스크리트어: yoga, yuga, dhura, 티베트어: sbyor ba, 영어: yoke)은 문자 그대로는 소나 말 등의 가축에게 씌우는 멍에를 말하며, 속박(束縛) · 기반(羈絆) 또는 굴레의 뜻으로, 번뇌의 다른 말이다.[114][115][116][117] (扼)이라고도 한다.[118]

이들 낱말의 사전적인 뜻은 다음과 같다.

  • (扼): 잡다, 누르다. 움켜쥐다, 가지다, 멍에[119]
  • 멍에: ① 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하여 말이나 소 등의 목에 얹는 구부러진 막대 ② 쉽게 벗어날 수 없는 구속이나 억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120]
  • 기반(羈絆): ① 굴레 ② 굴레를 씌우듯 자유를 얽매는 일[121]
  • 굴레: 말이나 소 등을 부리기 위하여 머리와 목에서 고삐에 걸쳐 얽어매는 줄[122]
  • 속박(束縛): ① 몸을 자유롭지 못하게 얽어맴 ② 어떤 행위를 자유로이 못하도록 얽어매거나 제한을 더함. 얽어맴. 묶음[123]

(軛)은 번뇌이계(離繫) 즉 '3계에 속박된 상태를 떠나는 것'을 장애한다는 것을 뜻하며, 또한 번뇌유정으로 하여금 5취 · 4생 · 9지에서 가볍거나 무거운 괴로움[苦]을 받게 하고 그 괴로움화합하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 번뇌괴로움을 겪게 한다는 것, 즉 번뇌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면 반드시 그것에 따른 괴로움만나게[和合] 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이다.[116][124][125][126][127]

(軛)은 보통 욕액(欲軛) · 유액(有軛) · 견액(見軛) · 무명액(無明軛)의 4액(四軛)을 말한다.[118][128][129]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130][131][132][133]

(軛)은 번뇌다른 이름(結) · (縛) · 수면(隨眠) · 수번뇌(隨煩惱) · (纏) · 폭류(暴流) · (軛) · (取) · (繫) · (蓋) · 주올(株杌) · (垢) · 상해(常害) · (箭) · 소유(所有) · (根) · 악행(惡行) · (漏) · (匱) · (燒) · (惱) · 유쟁(有諍) · (火) · 치연(熾然) · 조림(稠林) · 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다.
(軛)은 사행방편(邪行方便)을 뜻한다. 즉, 번뇌유정으로 하여금 사행(邪行)을 행하게 하는 방편 · 또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뜻한다.

양설[편집]

양설(兩舌, 산스크리트어: paiśunya, 팔리어: pisunā-vācā)은 이간질(離間-)하는 말, 즉 양쪽 사람에게 서로 다른 말을 하여 서로 불화[離間]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간어(離間語) 또는 양설어(兩舌語)라고도 한다.[134][135][136]

양설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양설어[편집]

양설어(兩舌語)는 양설(兩舌)의 다른 말이다.

양자[편집]

양자(養者, 산스크리트어: posa, 팔리어: posa, 영어: man, nourishing, to be fed or nourished, thriving, prosperity, development, increase)는 인간을 뜻하는데, 특히 능식자(能食者), 즉 생명의 주체인 것을 말한다.[137][138][139]

어구[편집]

어구(語具)는 '말하는 도구' 또는 '말하는 입'이라는 뜻으로 을 뜻한다.[140][141]

어언행[편집]

어언행(語言行)은 어언(語言)의 (行, 산스크리트어: saṃskāra), 즉 언어[語言] 즉 을 성립시키는 근거를 뜻한다. 즉, 원인이 되어 그것을 능히 일으키게 하는 근거를 말한다. 부파불교대승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마음거친 성질세밀한 성질에 해당하는 (尋)과 (伺)의 두 마음작용어언행이다. 즉 언어를 성립시키는 근거이다.[142][143][144][145][146]

어업[편집]

어업(語業)은 문자 그대로는 '말(언어)로 짓는 업'이라는 뜻으로 구업(口業)의 다른 말이다.

언구원만[편집]

언구원만(言具圓滿)은 《유가사지론》 제15권에 따르면, 논의 장엄[論莊嚴]을 구성하는 5가지 요소인 선자타종(善自他宗) · 언구원만(言具圓滿) · 무외(無畏) · 돈숙(敦肅) · 응공(應供) 가운데 하나이다.[147][148]

언구원만(言具圓滿)은 문자 그대로는 '말[言]이 원만(圓滿)하게 갖추어진 것'으로, 논서의 저자의 언어적 표현 모두가 '제대로 되지 못한 소리[非聲]'가 아닌 '제대로 된 소리[聲]'인 것을 말한다. 다시 '제대로 된 소리[聲]'란 불비루(不鄙陋) · 경이(輕易) · 웅랑(雄朗) · 상응(相應) · 의선(義善)의 5덕(五德: 5가지 특질)을 갖춘 것을 말한다. 《유가사지론》에 따르면, 이 5덕은 다음을 말한다.[147][148]

첫 번째 특질인 불비루(不鄙陋)는 문자 그대로는 '비루(鄙陋)하지 않은 것'으로, 변두리 지방과 변두리 나라의 낮고 속된 낱말과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 특질인 경이(輕易)는 문자 그대로는 '경쾌하고 쉬운 것'으로, 세상에서 널리 쓰이는 표준적인 낱말과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세 번째 특질인 웅랑(雄朗)은 문자 그대로는 '뛰어나고 밝은 것'으로, 낱말과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이치를 설명하는 것이 재치 있고[巧] 지혜로우며[妙] 뛰어나고[雄] 훌륭한[壯] 것을 말한다.

네 번째 특질인 상응(相應)은 문자 그대로는 '서로 부합 또는 일치하는 것'으로, 앞에서 말한 법의(法義: 법의 이치)와 뒤에서 말한 법의(法義)가 서로 부합하여 흩어짐이 없는 것을 말한다.

다섯 번째 특질인 의선(義善)은 문자 그대로는 '뜻이 선한 것'으로, 설명과 표현이 능히 승생(勝生)과 정승(定勝)을 이끌어 일으키고 전도(顚倒)가 없는 것을 말한다

언설[편집]

언설(言說)은 설명(說明)하는 을 뜻한다. 즉, 언어(言語)를 말한다.[149]

언의[편집]

1. 《구사론》에 따르면 언의(言依, 산스크리트어: kathavastu)는 유위법의 다른 말이다. 언의(言依)는 [語言]의 근거[所依]라는 뜻으로, 책상 혹은 하늘과 같은 명사적 단어[名, 산스크리트어: nāma, 영어: name]에 의해 드러나는 의미를 말한다. 즉 책상 혹은 하늘 등의 온갖 명사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온갖 명사가 가리키는 존재(법)를 말한다. 따라서 언의(言依: 말의 근거)는 일체의 유위제법(有爲諸法)을 모두 포섭한다.[150][151]

한편, 전통적인 용어로는, 명사 그 자체를 능전의 명(能詮의 名)이라 하며, 명사가 가리키는 존재(법)을 소전의 법(所詮의 法)이라 한다.[151][152] 능전의 명(能詮의 名)을 수설(隨說)이라고도 하며, 수설을 번역하여 따르는 말이라고도 한다.

해심밀경》 제5권에서는 관대도리(觀待道理)를 정의하면서 수설(隨說)을 언급하는데, (因)이나 혹은 (緣)이 능히 모든 (行: 유위법)을 생겨나게 하며 또한 해당 (行: 유위법)에 따르는 말[隨說] 즉 관련된 개념도 일으키는 것을 관대도리라 정의하고 있다.[153][154]

2. 언의(言議)는 의 다른 말이며, 일반 사전적인 뜻은 '사람들 사이에서 전(傳)하여 들리는 말'이다.[155] 언의와 관련된 내용으로, 《현양성교론》에 따르면 (想)의 마음작용본질적 성질[體]은 취상(取相) 즉 표상작용이고, 본질적 작용[業]은 언의(言議) 즉 일으키는 것이다.[156][157]

얽어맴[편집]

얽어맴(纏)의 다른 말이다.

업유[편집]

업유(業有)는 후유(後有)를 초래하는 , 즉, 생사윤회를 초래하는 을 말한다.[158][159]

업을 짓는 자[편집]

업을 짓는 자행위자(行爲者)의 다른 말이다.

업이숙[편집]

업이숙(業異熟)은 (業)의 이숙(異熟), 즉 전생(前生)에서 쌓은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이 이 생에서 태어날 때 각각 (樂)과 (苦)로 성숙되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이숙(異熟)의 다른 말이다.

에결[편집]

에결(恚結)은 애결(愛結) · 에결(恚結) · 만결(慢結) · 무명결(無明結) · 견결(見結) · 취결(取結) · 의결(疑結) · 질결(嫉結) · 간결(慳結)의 9결(九結) 가운데 하나이다.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에 따르면,

에결유정에게 손해(損害: 손상시키고 해롭게 함)를 입히는 것이다.[160][161]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에 따르면,

에결(苦)와 순고법(順苦法)을 맞이하여 유정에게 손해(損害: 손상시키고 해롭게 함)를 입히려는 마음작용이 있는 것[心有損害]이다. 마음에결손해(損害)를 입히려는 마음작용에 의해 묶이게[所繫] 되면 마음에경상(恚境相)을 불기사(不棄捨: 버리지 않음, 버리지 못함[162])하는 상태가 된다. 에경상불기사하기 때문에 불선을 널리 행하고 갖가지 을 행하지 않게 된다. 불선은 행하고 은 행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세(苦)를 불러들이고(苦)와 상응하게 된다.[163][164][165][166]

에해의[편집]

에해의(恚害意)는 미워하거나 해치려는 마음 또는 성내거나 해치려는 마음을 말하는데, 《아미달마장현종론》에 따르면 근본번뇌이자 불선근 가운데 하나인 (瞋)의 마음작용본질적 성질이며, 무애헤의(無恚害意)의 애민종자(哀愍種子) 즉 미워하거나 성내거나 해치려는 마음이 없는 애민(哀愍)의 종자선근 가운데 하나인 무진(無瞋)의 마음작용본질적 성질이다.[167][168]

여근[편집]

여근(女根, 산스크리트어: strīndriya, 팔리어: itth-indriya)은 22근(二十二根) 가운데 하나이며, 남녀2근(男女二根) 또는 그 줄임말인 2근(二根) 가운데 하나로, 여자의 생식기를 말한다.[169][170]

'(根)'은 증상력(增上力) 즉 뛰어난 힘 또는 작용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데, 남근여근2근은 모두 유정이(有情異) · 분별이(分別異)의 2가지 증상력을 가진다. 이 2가지 증상력을 전통적인 용어로 여남근2증상(女男根二增上) 즉 여근과 남근의 두 가지 증상이라 한다.[171][172]

여래[편집]

여래(如來)는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佛十號) 중의 하나이다. ‘진리를 완전히 깨달은[如, '等'正覺] 후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세상으로 나온[來] 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리고, 석가모니는 이러한 의미의 여래의 전형적인 경우들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여래장[편집]

여래장(如來藏, 산스크리트어: tathāgata-garbha)은 모든 중생번뇌의 몸 가운데에 감추어져 있는 본래의 청정하고 영원불변본성을 말한다.[173]

여리해[편집]

여리해(如理解)는 진리[理]에 계합[如]하는 이해[解] 즉 참다운 이해를 말한다.[174][175]품류족론》과 《구사론》에 따르면 이해(理解) 즉 (解)는 혜의 8가지 다른 이름(智) · (見) · (明) · (覺) · (解) · (慧) · (光) · (觀) 가운데 하나이다.[176][177] 보광(普光)의 《구사론기(俱舍論記)》 제26권에 따르면, (解)는 달해(達解: 통달, 막힘없는 앎, 막힘없는 풀이)를 뜻한다.[178]

현종론》에 따르면, (癡) 즉 무명(無明) 또는 어리석음소지경(所知境: 알아야 할 대상)에 대한 여리해가 장애되어 있는 무변료상(無辯了相: 분별과 앎이 없는 상태)이다. 즉, 대상에 대한 참다운 이해 또는 앎이 없는 상태이다.[174][175]

여소유성[편집]

여소유성(如所有性)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여여히 있는 성질 → 영원한 성질' 또는 '존재하는 바 그대로의 성질 → 진실한 성질'로, 줄여서 여소유(如所有)라고도 한다. 진제(眞締)의 이체(理體)를 뜻한다.[179][180] 반대말: 진소유성(盡所有性), 진소유(盡所有)

[편집]

1. (如, 산스크리트어: nyāya)는 '바른 이치에 계합하는 것[契正理]'을 뜻한다. 4성제도제성도(聖道)를 가리키는 말이다.[181][182]

2. (如, 산스크리트어: nyāya)는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인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 또는 관행[183]) 가운데 하나로, 4성제도제에 대한 4가지 관찰[觀法 또는 觀行]인 (道) · (如) · (行) · (出) 가운데 (如)를 말한다. 이것은 '도제성도(聖道)에 대하여, 성도는 바른 이치에 계합하는 것[契正理]이라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러한 수행[行相]을 (如)라고 한다.[181][182][184]

3. (餘)는 여의(餘依)의 줄임말이다. 여의(餘依)는 '아직 남아 있는 의신(依身) 즉 소의신(所依身) 즉 육체'를 말하는데, 육체가 존재함에 따라 그에 따라 아직 남아 있는 마음[情]과 형상(形象: 즉 육체)을 뜻한다. 이런 문맥에서, 유여열반(有餘涅槃) 또는 유여의열반(有餘依涅槃)은 육체를 지니면서도 번뇌를 끊었을 경우를 의미하며, 무여열반(無餘涅槃) 또는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은 육체도 소멸했을 경우를 의미한다.[185]

여근과 남근의 두 가지 증상[편집]

여근과 남근의 2가지 증상[女男根二增上] 또는 여남근2증상(女男根二增上)은 22근 가운데 남근(男根) · 여근(女根)의 남녀2근(男女二根)이 가진 두 가지 뛰어난 작용력인 유정이(有情異)와 분별이(分別異)를 말하는 것으로, 남녀2근의 증상[男女二根增上]의 전통적인 표현이다.

여리소인[편집]

여리소인(如理所引)은 《대승오온론》과 《대승광오온론》에서 (慧)의 3가지 종류로 설하는 여리소인(如理所引) · 불여리소인(不如理所引) · 구비소인(俱非所引) 가운데 하나이다.[186][187][188][189]

여리소인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이치[理]에 맞게[如] 이끌어냄[所引]'으로, 이치[理]에 맞게 택법(擇法)하는 것을 뜻하며,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이것은 불제자(佛弟子: 부처의 제자)들의 택법(擇法) 즉 지혜[慧]를 뜻한다. 한편, 불여리소인외도(外道)들의 택법지혜를 뜻하고, 구비소인은 나머지 중생들의 택법지혜를 뜻한다.[188][189]

여실[편집]

1. 여실(如實)은 진실한 이치에 계합하는 것 · 진실에 계합하는 것 · 사실에 계합하는 것 · 실제에 계합하는 것 · 사실 그대로 · 있는 그대로 또는 진실하게를 뜻한다. 즉, 여실(如實)에서 여(如)는 계합(契合) 또는 상응(相應)을 의미하고, 실(實)은 진실한 이치 · 진실 · 실제 또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의미한다.[190][191]

예를 들어, 여실(如實)한 사유(思惟)는 진실한 이치계합하는 사유, 즉 참다운 사유를 말하고, 여실(如實)하지 못한 사유(思惟)는 진실한 이치계합하지 못하는 사유, 즉 진실한 이치와는 어긋나는 사유, 참답지 못한 사유, 올바르지 못한 생각을 말한다. 다른 예로, 여실수행(如實修行)은 진실한 이계합하는 수행을 말한다.

다른 예로, 여실(如實)히 지은 과악(過惡)을 드러내는 것은 '있는 그대로' 즉 '사실 그대로' 드러내는 것을 말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그 과악을 바로잡을 수 있는 바른 가르침을 스승 등이 줄 수 있게 된다.[192][193]

대승광오온론》의 해설에 따르면, 여실(如實) 즉 진실한 이치에 계합하는 것은 좁은 뜻으로는 4성제계합하는 것을 뜻하고 넓은 뜻으로는 12연기계합하는 것을 뜻한다.[194][195]

2. 여실(如實)은 진여(眞如)의 다른 말이다. 이 경우에서, 여(如)는 평등(平等)을 뜻한다. 따라서, 여실(如實)은 '평등[如]한 진실[實]'을 뜻하는데, 일체의 만법(萬法)의 진실한 모습 즉 실상(實相)은 진여 또는 불성과 다른 것이 아니라는 것[平等無二], 또는 일체의 만법(萬法)의 진실한 모습 즉 실상(實相)은 평등하여 모든 서로 간에 다름이 없다는 것[平等無異]을 가리키는 말이다.[190][191]

여실수행[편집]

여실수행(如實修行)은 여실(如實)한 수행, 즉 '진실한 이치[實]'에 계합[如]하는 수행을 말한다.[190][191]

여실정행[편집]

여실정행(如實正行)은 줄여서 정행(正行) 즉 바른 실천이라고도 하는데, 여실(如實)한 정행(正行) 즉 '진실한 이치[實]'에 계합[如]하는 바른[正] 실천[行]'을 뜻한다.

정행(正行) 즉 바른 실천8정도6바라밀 등을 말한다.[196]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여실정행 또는 정행은 좁은 뜻으로는 4성제계합하는 바른 실천을 말하며, 넓은 뜻으로는 12연기에 계합하는 바른 실천을 말한다.[194][195]

대승오온론》과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여실정행 또는 정행무치(無癡: 어리석음이 없음, 어리석지 않음) 또는 정지(正知: 바른 앎)와 동의어이다. 보다 엄밀히 말하자면, 무치 또는 정지본질[性]이다.[197][198][194][195]

[편집]

1. (緣, 산스크리트어: pratyaya, 팔리어: paccaya)은 결과가 생겨나게 하는데 있어 거기에 참여하는 모든 직접적 · 간접적 원인을 뜻한다.[199][200]

2. (緣, 산스크리트어: pratyaya, 팔리어: paccaya)은 결과가 생겨나게 하는데 있어 간접적인 원인을 뜻한다. 이에 대해 (因, 산스크리트어: hetu)은 결과가 생겨나게 하는데 있어 직접적인 원인을 뜻한다.[199][200]

이 경우, 인연(因緣) · 소연연(所緣緣) · 증상연(增上緣) · 등무간연(等無間緣)의 4연(四緣) 가운데, 인연(因緣)은 (因) 즉 직접적인 원인에 해당하고 소연연(所緣緣) · 증상연(增上緣) · 등무간연(等無間緣)은 (緣) 즉 간접적인 원인에 해당한다.[199][200]

3. (緣, 산스크리트어: pratyaya, 팔리어: paccaya)은 괴로움이라는 결과[苦果]를 이루게 하는 간접적인 원인을 뜻하는데, 유루(有漏)를 가리키는 말이다.[201][202]

4. (緣, 산스크리트어: pratyaya, 팔리어: paccaya)은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인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 또는 관행[183]) 가운데 하나로, 4성제집제에 대한 4가지 관찰[觀法 또는 觀行]인 (因) · (集) · (生) · (緣) 가운데 (緣)을 말한다. 이것은 '유루(有漏)라는 원인에 대하여, 마치 햇빛 · 공기 · 수분 · 온도 등의 간접적 원인[緣]이 나무의 직접적 원인[因]인 씨앗 즉 종자(種子)를 도와 나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처럼[能令成辦], 유루괴로움이라는 결과[苦果]를 이루게 하는 간접적인 원인[緣]이라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러한 수행[行相]을 (緣)이라고 한다.[201][202][184]

연품[편집]

연품(軟品)은 어떤 또는 을 난이도의 측면에서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의 순서로 하품(下品) · 중품(中品) · 상품(上品)으로 구분할 때, 하품(下品)을 말한다.[203][204]

[편집]

1. (悅)은 《아비달마구사론》 제3권에 따르면, 신열(身悅) 즉 육체적 즐거움 또는 기쁨이건 혹은 심열(心悅) 즉 정신적 즐거움 또는 기쁨이건 즐거움 또는 기쁨을 통칭하며, 섭익(攝益) 즉 섭수(攝受: 받아들임, 충족됨)와 장익(長益: 이익을 증대시킴)의 뜻을 가진다. 이의 반대로, 불열(不悅)은 육체적 손상시킴[損]과 괴롭힘[惱]의 느낌이건 정신적 손상시킴과 괴롭힘의 느낌이건 손상시킴과 괴롭힘의 느낌, 즉 손뇌(損惱: 손상시키고 괴롬힘)의 느낌을 통칭한다. 즉, 불열손뇌의 뜻을 가진다.[205][206]

2. (劣)은 저열한 것 · 저열한 법 · 열등한 것 · 열등한 법 · 못한 것 또는 못한 법이라는 뜻으로, 5온 각각이 가지는 과거(過去) · 미래(未來) · 현재(現在) · (內) · (外) · (麤) · (細) · (劣) · (勝) · (遠) · (近)의 총 11가지의 품류차별 또는 품류, 즉 11품류 가운데 '열'을 말한다.[207][208]

번뇌오염 ·  ·  · 또는 을 뜻하며,[209][210] 혹은 에 맞지 않은 즉 마음에 들지 않는[非可意]  ·  ·  · 또는 을 뜻한다.[211][212]

아비달마구사론》 제19권에 따르면, (劣)은 유루, 즉 무루성혜[聖] 또는 성도[聖]에 의해 끊어지는 것을 뜻하며, 5견 가운데 견취(見取)는 (劣)을 (勝)이라고 여기는 견해유루무루라고 여기는 견해이다.[213][214]

열뇌[편집]

1. 열뇌(熱惱)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극심한 괴로움'인데, 불교 용어로서는 '흥분[熱]하여서 또는 극심[熱]하게 다른 유정을 괴롭히[惱]는 것'을 말한다.[215]성유식론》 제6권 등에 나오는 불교의 심소론 또는 번뇌론에 따르면, 열뇌는 곧 수번뇌심소 가운데 하나인 (惱) 즉 괴롭힘마음작용을 말한다.[216][217]

2. 열뇌(熱惱)는 음욕(婬欲) 즉 성욕(性慾)을 뜻한다. 이 경우 뜨거운 번뇌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6욕천인간과 마찬가지로 열뇌음욕을 가진다.[218][219]

[편집]

1. (, 산스크리트어: smṛti, 팔리어: sati, 영어: mindfulness, awareness, inspection, recollection, retention)은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다.[220][221] (念)은 기억작용이다. 즉, 대상을 명백히 기억[明記]하여 잊어버리지 않는 마음작용이다.[220][222]

2. (厭: 싫어함)은 염환(厭患: 싫어하고 근심으로 여김)을 뜻한다.

3. (厭: 싫어함)은 유전연기와 그 결과물인 생사윤회염오(厭惡: 싫어하고 미워함)하게 하는 선한 마음작용이다. 한편, (欣)은 환멸연기와 그것에 의해 증득되는 열반흔락(欣樂)하게 하는 선한 마음작용이다.[223][224]

염심[편집]

1. 염심(染心)은 번뇌오염된 마음을 말한다.

2. 염심(念心)은 보살의 수행계위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등각 · 묘각52위 가운데 첫 번째 그룹인 10신(十信)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계위이다.

보살영락본업경》 상권 〈2. 현성명자품(賢聖名字品)〉에 따르면 10신신심(信心) · 염심(念心) · 정진심(精進心) · 혜심(慧心) · 정심(定心) · 불퇴심(不退心) · 호심(護心) · 회향심(廻向心) · 계심(戒心) · 원심(願心)이다.[225][226]

한편 이 경전의 하권 〈4. 석의품(釋義品)〉에 따르면 10신신심(信心) · 진심(進心) · 염심(念心) · 혜심(慧心) · 정심(定心) · 계심(戒心) · 회향심(廻向心) · 호법심(護法心) · 사심(捨心) · 원심(願心)이다.[227][228]

염오[편집]

염오(染污)는 번뇌에 물들어 혼탁해진 것을 말하는데,[229][230] 부정(不淨: 맑고 명료하지 못함)과 동의어이다.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번뇌에 물든 것을 염오심(染污心), 즉 염오(染污)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 또는 오염(污染)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라 하는데, 염오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사물[事]과 이치[理]를 명료하게 알지 못하는 무지(無知)의 상태에 있게 된다.[220][231]

염오견[편집]

염오견(染汚見)은 '번뇌에 오염된 견해'라는 뜻으로, '(모든) 삿된 견해'라는 뜻의 사견(邪見)과 같은 말이며, '망녕된 견해'라는 뜻의 망견(妄見)과도 같은 말이며, '진리에 어긋나는 잘못된 견해'라는 뜻의 악견(惡見) 또는 부정견(不正見)과도 같은 말이다. '바른 견해'라는 뜻의 정견(正見)의 반대말이다.[12][13][14][15][16][17][232][233]

염작의[편집]

염작의(厭作意)는 선한 마음작용들 가운데 하나인 (厭)의 마음작용상응하는 것 또는 (厭)의 마음작용상응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234][235]

염환[편집]

염환(厭患)은 문자 그대로의 뜻에 따르면 싫어하고 근심함 또는 싫어하고 근심으로 여기는 것이다.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염환생사(生死)의 모든 과실(過失)에 대한 변지(遍知, 산스크리트어: parijñā: 두루 아는 것,[236] 철저하게 완전히 아는 것[237])를 말한다. 보다 엄밀히 말하자면, 이러한 변지(遍知)가 있을 때 (有: 3계 또는 3계의 삶)와 유자구(有資具: 3계에 태어나게 하는 원인)에 대해 일으켜지는 바로 그 염환(厭患), 즉 바로 그 싫어함과 근심으로 여김을 말한다.[238][239]

달리 말하면, 싫어하고 근심으로 여기는 것염환(厭患)은 윤회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악행과 그 악행에 의해 결과되는 윤회에 대해 그 인과관계를 '완전하게 아는 것[遍知]'이고 또한 이러한 앎의 상태에서 발견되는 '윤회와 그 원인에 대한 싫어함과 근심으로 여김'이다.

염환(厭患)은 (慚) · (愧) · 무탐(無貪) 등의 선심소와 관련되어 주로 언급된다.[238][239][240][241]

염훼[편집]

염훼(厭毀)는 싫어하거나 허물려고 하는 것으로, 무참(無慚)과 무괴(無愧)의 마음작용에 대한 여러 정의 가운데 하나에 따르면, 무참은 온갖 번뇌(煩惱)에 대해 능히 염훼하지 않는 즉 능히 싫어하거나 허물려고 하지 않는 마음작용이고, 무괴는 온갖 악행(惡行)에 대해 능히 염훼하지 않는 즉 능히 싫어하거나 허물려고 하지 않는 마음작용이다.[242][243]

영납[편집]

영납(領納) · 영납상(領納相) · 영납성(領納性) 또는 영납작용(領納作用)은 (受)의 마음작용본질적 성질로, 문자 그대로는 '받아들임(領: 받을 령, 納 들일 납)', '받아들이는 성질' 또는 '받아들이는 작용'을 뜻하며 느낌 또는 감수작용(感受作用) 즉 지각(知覺)을 말한다.[244][245][246][247][248] 받아들임으로 번역하기도 한다.[244][245][249][250][251][252]

영진[편집]

영진(永盡, 산스크리트어: paryādāna, vyucchinna, samudghāta)은 번뇌영원히 끊어진 것 또는 완전히 끊어진 것을 말한다. 영단(永斷)과 동의어이다.[253] 번역하여 영원히 다하다 또는 아주 끊어 없애다라고도 한다.[254][255][256]

모니어 윌리엄스의 《산스크리트어-영어 사전》에 따르면, 영진의 원어 파리야다나(paryādāna) · 브유친나(vyucchinna) · 사무드가타(samudghāta)의 사전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

  • 파리야다나(paryādāna): end (끝, 종말, 종료, 최후), exhaustion (탈진, 기진맥진, 고갈, 소진)[257]
  • 브유친나(vyucchinna): cut off (잘라 낸, 차단한, 가로막은), extirpated (제거한, 없앤, 근절시킨), destroyed (파괴된, 말살된, 죽임을 당한, 살처분된), interrupted (가로막힌, 중단된, 중절된, 단속적인, 비연속적인), ceased (중단된, 그친, 끝난)[258]
  • 사무드가타(samudghāta): taking away (없앰, 제거, 치움, 줄임, 죽임, 떠나감), removal (없애기, 제거, 철폐, 이사), destruction (파괴, 파멸, 말살), extermination (근절, 전멸, 절멸, 몰살, 멸종, 구제(驅除))[259]

잡아함경》 제18권 제490경 〈염부차경(閻浮車經)〉에서,

사리불외도의 수행자인 염부차의 물음에 대한 답에서 열반이란  ·  · 를 비롯한 일체(一切)의 번뇌영원히 다한[永盡] 상태이며, 8정도열반에 이르는 이라고 말하고 있다.[254][255]

유가사지론》 제83권에 따르면,

영진(永盡)은 과거해탈(過去解脫) 즉 과실(過失: 허물, 잘못, 불선, 악, 계 · 정 · 혜의 반대)을 물리쳐서[去] 과실로부터 벗어난[解脫] 상태를 한다.[260]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DDB, "阿耨多羅".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阿耨多羅:
    Pronunciations: [py] ānòuduōluó [wg] anou-tuo [hg] 아누다라 [mc] anudara [mr] anudara [kk] アノクタラ [hb] anokutara [qn] a nậu đa la
    Basic Meaning: unsurpassed
    Senses:
    # Transliteration of the Sanksrit/Pāli anuttara, which means; translated into Chinese as 無上. 〔瑜伽論 T 1579.30.347a13, 阿彌陀經 T 366.12.348a11〕 [Charles Muller]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go daijiten (Nakamura) 7b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1208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2243a"
  2.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2a29 - T25n1509_p0072b08. 아뇩다라(阿耨多羅)
    "復名「阿耨多羅」,秦言「無上」。 云何無上? 涅槃法無上。佛自知是涅槃不從他聞,亦將導眾生令至涅槃。如諸法中涅槃無上,眾生中佛亦無上。 復次,持戒、禪定、智慧,教化眾生,一切無有與等者,何況能過?故言無上。 復次,「阿」名「無」,「耨多羅」名「答」。一切外道法,可答可破,非實非清淨故;佛法不可答、不可破,出一切語言道,亦實清淨故,以是故名無答。"
  3.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p. 87-88 / 2698. 아뇩다라(阿耨多羅)
    "또한 아뇩다라(阿耨多羅)[진나라 말로는 ‘위없다(無上)’이다.]157)라고도 한다.
    [문] 무엇이 위가 없는가?
    [답] 열반의 법이 위가 없다. 부처님은 스스로가 이 열반을 아셔서 남에게 들은 적이 없으시며, 또한 중생들을 인도하여 열반에 이르게 하시는데, 모든 법 가운데서 열반이 위가 없듯이 중생 가운데서 부처님도 위가 없으시다.
    또한 지계 · 선정 · 지혜로 중생을 교화하시는데, 아무도 같을 이가 없거늘 하물며 그를 지날 이가 있겠는가? 그러므로 ‘위없는 분’이라 한다.
    또한 아(阿)를 ‘없음[無]’이라 하고 욕다라(耨多羅)158)를 ‘대답하다[答]’라고 하니, ‘대답할 자 없는 분[無答]’이 된다. 온갖 외도의 법은 대답할 수 있고 부술 수가 있으니, 진실이 아니요 청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처님의 법은 대답할 수 없고 부술 수도 없다. 온갖 언어의 길을 뛰어넘었으니, 진실하고도 청정하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대답할 자 없는 분’이라 하는 것이다.
    157) 범어로는 anuttara.
    158) 범어로는 uttara."
  4. 佛門網, "阿耨多羅".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阿耨多羅: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為音譯,意譯為「無上」。"
  5. 운허, "無上士(무상사)".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無上士(무상사): 부처님 10호(號)의 하나. 범어 아뇩다라(阿耨多羅, anuttara)의 번역. 부처님은 유정 가운데 가장 높아서 위가 없는 대사(大士)라는 뜻."
  6.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3a18 - T31n1605_p0663a20. 아사(我事)
    "何因蘊唯有五。為顯五種我事故。謂身具我事。受用我事。言說我事。造作一切法非法我事。彼所依止我自體事。"
  7.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2 / 159. 아사(我事)
    "어떤 이유에서 온에는 다섯 종류만 있습니까?
    다섯 종류의 아사(我事)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신구아사(身具我事)ㆍ수용아사(受用我事)ㆍ언설아사(言說我事)ㆍ조작일체법비법아사(造作一切法非法我事)ㆍ피소의지아자체사(彼所依止我自體事)를 가리킨다."
  8.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695a23 - T31n1606_p0695b01. 아사(我事)
    "問何因蘊唯有五答為顯五種我事故謂為顯身具我事。受用我事。言說我事。造作一切法非法我事。彼所依止我自體事。於此五中前四是我所事。第五即我相事。言身具者。謂內外色蘊所攝。受等諸蘊受用等義。相中當說。彼所依止我自體事者。謂識蘊是身具等所依我相事義。所以者何。世間有情多於識蘊計執為我。於餘蘊計執我所。"
  9.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5 / 388. 아사(我事)
    "어떤 이유에서 ‘온’에는 다섯 종류만이 있습니까?
    다섯 가지 아사(我事)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신구아사(身具我事)ㆍ수용아사(受用我事)ㆍ언설아사(言說我事)ㆍ조작일체법비법아사(造作一切法非法我事)ㆍ피소의지아자체사(彼所依止我自體事)를 가리킨다.
    [釋] 이 다섯 가지 가운데에서 앞의 네 가지는 아소사(我所事)에 해당하고 다섯 번째는 아상사(我相事)에 해당한다.
    [釋] ‘신구’라고 지칭하는 것은 내부와 외부의 색온에 수렴되는 것이니, 수온 따위의 여러 온의 수용이 평등하다는 이치이다. ‘아상사’도 마땅히 해설해야 하리니, ‘피소의지아자체사’란 식온이 신구 따위에 소의하는 ‘아상사의 이치’이다.
    어째서입니까?
    세간의 유정은 대부분 식온을 헤아려 ‘나[我]’라고 집착하고, 그 밖의 다른 온을 헤아려 ‘내 것[我所]’이라고 집착하는 까닭이다."
  10. 종교 · 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일체개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1. 호법 등. 현장 한역, T31n1585_p0001a09(12) - T31n1585_p0001a12(10), 2011년 4월 3일에 확인.
    원문
    今造此論為於二空有迷謬者生正解故。生解為斷二重障故。由我法執二障具生。若證二空彼障隨斷。斷障為得二勝果故。由斷續生煩惱障故證真解脫。由斷礙解所知障故得大菩提。
    편집자 번역
    지금 이 논서를 저술하는 이유는 이공(二空: 두 가지 공)에 대해서 미혹하고 오류가 있는 사람들이 이공(二空)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공(二空)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 무거운 장애(二重障: 번뇌장과 소지장)를 끊기 위한 때문이다.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의 (두 가지) 집착으로 인해 이 두 가지 장애가 함께 일어난다. 이공(二空)을 증득하게 되면 그에 따라 이들 (두 가지) 장애도 끊어진다. (이들 두 가지) 장애를 끊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 뛰어난 과보(二勝果: 열반과 보리, 또는 해탈과 보리)를 얻기 위한 때문이다. (이것을 더 자세히 말하자면) 윤회하는 삶(生)을 계속되게 만드는 원인인 번뇌장(煩惱障)을 끊음으로써 참다운 해탈(眞解脫: 유식학에서 해탈은 열반과 같은 것이다)을 증득하게 되기 때문이며, 지혜(解: 앎 · 이해 · 지식)를 장애하는 소지장(所知障)을 끊음으로써 대보리(大菩提: 큰 깨달음 · 완전한 깨달음 · 출세간의 무분별지혜 · 무상정등보리 ·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 운허, "邪見(사견)".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13. 운허, "惡見(악견)".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14. 운허, "八不正見(팔부정견)".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15. 운허, "染汚(염오)".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16. 星雲, "染污".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17. 星雲, "正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正見: 梵語 samyag-drsti,巴利語 sammā-ditthi。如實了知世間與出世間之因果,審慮諸法性相等之有漏、無漏慧,稱為正見。係八正道之一,十善之一。為「邪見」之對稱。即遠離或有或無之邪見,而採取持平正中之見解,如遠離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五不正見」之見解皆屬正見。故廣泛言之,凡為佛教所認可之道理,皆屬正見。"
  18. 운허, "惡口(악구)".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惡口(악구): 10악의 하나. 신역에서는 추악어(麤惡語). 남을 성내게 할 만한 나쁜 말."
  19.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악구(惡口)
    "(5) 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20. 星雲, "惡口".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惡口:  為十惡之一。新譯粗惡語。即口出粗惡語毀訾他人。據大乘義章卷七載,言辭粗鄙,故視為惡;其惡從口而生,故稱之為惡口。法界次第初門卷上(大四六‧六六九下):「惡言加彼,令他受惱,名為惡口。」另據法華經卷六常不輕菩薩品載,若惡口罵詈誹謗,其人將獲大罪報。〔無量壽經卷下、俱舍論卷十六〕"
  21. 운허, "十惡(십악)".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十惡(십악): 열 가지 죄악. 신(身)3·구(口)4·의(意)3.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
  22. 운허,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10악(惡)을 신(身)·구(口)·의(意)의 셋에 배당.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을 신삼(身三), 망어(妄語)·기어(綺語)·악구(惡口)·양설(兩舌)을 구사(口四), 탐욕(貪欲)·진에(瞋恚)·사견(邪見)을 의삼(意三)이라 함. ⇒십불선업(十不善業)·십악(十惡)"
  23.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십악(十惡): 몸과 말과 뜻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 (1) 살생(殺生). 사람이나 동물 따위, 살아 있는 것을 죽임. (2) 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3) 사음(邪婬). 남녀간에 저지르는 음란한 짓. (4) 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5) 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6) 양설(兩舌). 이간질하는 말. (7) 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민 말. (8) 탐욕(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 (9) 진에(瞋恚). 성냄. (10)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24. 운허, "十善(십선)".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十善(십선): ↔ 십악(十惡). 십선도(十善道) 또는 십선계(十善戒)라고도 함. 몸[動作]·입[言語]·뜻[意念]으로 10악을 범치 않는 제계(制戒)·불살생(不殺生)·불투도(不偸盜)·불사음(不邪婬)·불망어(不妄語)·불양설(不兩舌)·불악구(不惡口)·불기어(不綺語)·불탐욕(不貪欲)·불진에(不瞋恚)·불사견(不邪見)."
  25.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 T.99, 제26권 제707경 〈장개경(障蓋經)〉. p. T02n0099_p0189c15 - T02n0099_p0189c25. 5개(五蓋)와 7각지(七覺支)
    "爾時。世尊告諸比丘。有五障.五蓋。煩惱於心。能羸智慧。障閡之分。非明.非正覺。不轉趣涅槃。何等為五。謂貪欲蓋.瞋恚蓋.睡眠蓋.掉悔蓋.疑蓋。如此五蓋。為覆為蓋。煩惱於心。令智慧羸。為障閡分。非明.非等覺。不轉趣涅槃。 若七覺支。非覆非蓋。不惱於心。增長智慧。為明.為正覺。轉趣涅槃。何等為七。謂念覺支等。如上說。乃至捨覺支。如此七覺支。非翳非蓋。不惱於心。增長智慧。為明.為正覺。轉趣涅槃。"
  26.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 K.650, T.99, 제26권 제707경 〈장개경(障蓋經)〉. p. 1059-1059 / 2145. 5개(五蓋)와 7각지(七覺支)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다섯 가지 장애[障]와 덮개[蓋]가 있어서, 마음에 번뇌를 일으키게 하고 지혜를 약하게 한다. 그것은 막고 걸리는 물건으로, 밝음이 아니요 바른 깨달음이 아니어서 열반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 어떤 것이 그 다섯 가지인가? 탐욕개(貪欲蓋)·진에개(瞋恚蓋)·수면개(睡眠蓋)·도회개(掉悔蓋)·의개(疑蓋)를 이르는 말이다. 이러한 다섯 가지 개(蓋)는 은폐하고 덮어서 마음에 번뇌를 일으키게 하고 지혜를 약하게 한다. 그것은 막고 걸리는 물건으로, 밝음이 아니요 바른 깨달음이 아니어서 열반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7각지(覺支)는 은폐하는 것도 아니요, 덮어 가리는 것도 아니라서 마음에 번뇌가 일어나게 하지 않고 지혜를 더욱 자라게 하며, 밝음이 되고 바른 깨달음이 되어 열반으로 나아가게 한다. 어떤 것이 그 일곱 가지인가? 이른바 염각지(念覺支) 등……(내지)……사각지(捨覺支)까지의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이와 같은 7각지는 가리는 것이 아니요 덮는 것도 아니어서 마음에 번뇌가 일어나게 하지도 않고 지혜를 더욱 자라나게 하며, 밝음이 되고 바른 깨달음이 되어 열반으로 나아가게 하느니라."
  27. 운허, "五蓋(오개)". 2012년 10월 31일에 확인
    "五蓋(오개): 【범】 pañca āvaranāni 5장(障)이라고도 함. 개(蓋)는 개부(蓋覆)한다는 뜻. 5법(法)이 있어 능히 심성(心性)을 가리워 선법(善法)을 낼 수 없게 함. (1) 탐욕개(貪欲蓋). 5욕에 집착함으로 심성을 가리움. (2) 진에개(瞋恚蓋). 성내는 것으로써 심성을 가리움. (3) 수면개(睡眠蓋). 마음이 흐리고 몸이 무거워짐으로 심성을 가리움. (4) 도회개(掉悔蓋). 마음이 흔들리고 근심함으로 심성을 가리움. (5) 의법(疑法). 법에 대하여 결단이 없이 미룸으로써 심성을 가리움."
  28. 星雲, "五蓋".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
    "五蓋: 梵語 pañca āvaranāni。蓋,覆蓋之意。謂覆蓋心性,令善法不生之五種煩惱。即:(一)貪欲蓋(梵 rāga-āvarana),執著貪愛五欲之境,無有厭足,而蓋覆心性。(二)瞋恚蓋(梵 pratigha-āvarana),於違情之境上懷忿怒,亦能蓋覆心性。(三)惛眠蓋(梵 styāna-middha-āvarana),又作睡眠蓋。惛沈與睡眠,皆使心性無法積極活動。(四)掉舉惡作蓋(梵 auddhatya-kaukrtya-āvarana),又作掉戲蓋、調戲蓋、掉悔蓋。心之躁動(掉),或憂惱已作之事(悔),皆能蓋覆心性。(五)疑蓋(梵 vicikitsā-āvarana),於法猶豫而無決斷,因而蓋覆心性。"
  29. 星雲, "掉悔蓋". 2012년 11월 3일에 확인. 도회개(掉悔蓋)
    "掉悔蓋: 梵語 auddhatya-kaukrtya-āvarana。五蓋之一。掉,指心躁動不安;悔,於所作之事心懷憂惱;此二者皆為使心不安靜之煩惱,能障聖道,故稱蓋。合掉舉、追悔(惡作)二煩惱為一蓋,以能障礙定蘊,故稱掉悔蓋。又作掉舉惡作蓋、掉戲蓋、調戲蓋。五蓋中僅此蓋與惛眠蓋(惛沈、睡眠)合二為一蓋,依大毘婆沙論卷四十八所說,係因二者之所食、能治、事用相同,即掉舉、惡作(悔)皆以四法(親里尋、國土尋、不死尋、念昔種種戲笑歡娛承奉等)為所食,均以奢摩他(止惡)為對治之法,故皆有令心不能寂靜之事用。〔雜阿含經卷二十四、長阿含卷十二清淨經、大智度論卷十七〕"
  30.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20a20 - T29n1558_p0020a22. 부정심소(不定心所)
    "如是已說五品心所。復有此餘不定心所。惡作睡眠尋伺等法。"
  3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73 / 1397. 부정심소(不定心所)
    "이와 같이 다섯 가지 품류의 심소[← 한글본 원문에 "심과 심소"로 되어 있으나 심소가 되어야 함]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다시 이 밖에도 부정(不定)의 심소로서 악작(惡作)·수면(睡眠)·심(尋)·사(伺) 등의 법이 존재한다.51)
    51) 심소법에는 이상의 대지법·대선지법·대번뇌지법·[대불선지법← 한글본 원문에 빠져 있으나 추가되어야 함]·소번뇌지법의 5품[← 한글본 원문에 "4품"이라고 되어 있으나 5품이 되어야 함] 이외 선·염오·무기 무엇과도 상응할 수 있어 그 구생관계가 결정적이지 않은 악작·수면(睡眠)·심(尋)·사(伺) 등의 존재가 있는데, 이를 부정지법(不定地法)이라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 '등'이라고 함은, 보광(普光)의 『구사론기』에 의하면 탐(貪)·진(瞋)·만(慢)·의(疑)인데, 이에 따라 심소법이 마흔여섯 가지가 되어 일반에서 유부의 법수(法數)를 75 법으로 일컫게 된 것이다. 이 중 악작과 심·사는 본권에서 후술되며, 수면은 본론 권제21에서 설명되고 있다 "
  32. 星雲, "五位七十五法".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 부정심소(不定心所)
    "(6)不定地法(不定相應,即上述各心所之外者),有尋、伺、睡眠、惡作、貪、瞋、慢、疑等八種。"